23.07.24 첫번째 강의
내돈내산으로 4개월간(16주) 진행 되는 "UXUI/GUI/퍼블리싱 포폴 제작을 위한 웹 프로페셔널" 강의를 리메인 이라는 곳에서 듣게 되었습니다.
리메인이랑 디자인나스가유명하다고 해서 봤는데, 디자인 나스에는 35세미만 나이제한이 있더라고요? 물론 강의를 듣는 친구들의 나이대를 맞추고(?) 경력이 없는 기초부터 가르치려는 뭐 그런것(?) 때문일수도 있겠지만요, 기냥(?) 적혀있는것 자체가 기분 나쁜 35살 근처 1인은(아직 미만이긴 합니다만) 리메인을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 플러스 리메인을 선택한 이유는요,
마케팅을 하는 사람으로서 디자인나스의 수업 상세페이지보다는 리메인의 수업 상세페이지가 구성과 깔끔함, 그리고 요즘 강의 사이트들과 유사한 구성을 보여서 더 익숙한 면이 있었습니다.
(러닝스푼즈, 패스트캠퍼스, 헤이조이스, 아이보스 등 온갖 온 오프라인 강의를 수강한 돌+i 로서 디자인나스의 수업 소개 상세페이지는 별로 듣고싶지 않았습니다. 뒷끝있음ㅋㅋㅋ 물론 수업이 좋을 수 있음ㅋㅋ 무료라면 들어보고 평가해주겠지만, 그렇게 해주지 않으시겠디요ㅋㅋㅋ아무말 ㅈㅅ)
여하튼, 리메인 강의 1차 내용 정리입니다.
★ 후기 : 첫번째 강의라 기초이론 위주로 설명해주셨습니다. 3시간 진행 했는데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갈 정도로 말을 잘하시고 재미 있더라고요.
"해당 내용을 유튜브에서 충분히 찾아볼 수 있지만, 돈을 지불 함으로서 자신이 경험 했던 것을 시간을 압축해서 전달드리는 거라고" 이야기 해주셨어요.
저도 마케팅을 9년째 하고있지만, 내가 이렇게 하면 일을 빨리 진행할 수 있고, 업무처리 방식이 어떻게 되고, 이런 곳에서 인사이트를 얻으며, 어떤 방식으로 일을 해결하는지는 자신만의 노하우라고 생각합니다. 그 노하우를 끝까지 잘 뽑아먹는 수강생이 되고싶습니다.
UX란? 유저의 경험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정의를 내리고 개선하는 것
UX는 User Experience(사용자 경험)을 줄인 말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느끼는 전반적인 경험을 뜻 한다.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감정, 태도, 인식 등 모든 측면이 UX에 포함 된다.
예를들어, 회원가입 단계가 복잡하여 사용자가 이탈하였을 때, 현재의 UX가 갖는 문제를 찾아 새롭게 변화시키는 것이다. 제품이나 서비스의 편의성, 효율성부터 디자인적인 부분까지 모두 고려 된다.
따라서 UX 기획 혹은 디자인은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행동을 고려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반영한 제품이나 서비스는 사용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일 수 있다.
UI란? 화면을 디자인 하는 것
User Interface의 약자로 사용자가 마주하게될 정보나 기능의 형태를 디자인하는 작업(사용자가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와 만나는 면이자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매개체)이다.
사용자가 누르고 클릭하는 버튼, 텍스트, 이미지, 애니메이션 등의 시각적 요소들이 모두 UI 구성 요소다.
UI 디자인을 통해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레이아웃, 색상, 폰트, 아이콘 등을 결정한다. 이런 디자인은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동안 어떻게 반응하고 동작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좋은 UI는 사용자가 쉽게 찾아 따라 할 수 있는 직관적인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UI는 사용자 경험(UX)의 중요한 요소이며,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매개체라고 할 수 있다.
기획자(서비스기획)가 하는 업무
: 산출물을 만드는 것, 기획자는 프로젝트의 리더로 프로젝트의 전체 아키텍처를 짜고 기획을 함
- 기능명세서 작성 : 너의 비지니스가 뭐야? 너의 비지니스에 필요한 도구는 뭐임? 뭐가 필요함? 뭐 이런 것들을 정리하는 것. 요걸 작성해야 얼마나 걸리는지 알수 있음.
- 서비스 정책 정의서 :포인트가 필요하다면, 유효기간은 어떻게 할건지 같이 정책점에서 기능에 대항 정책을 정의하는 과정임 *예) 마일리지, 쿠폰, 회원가입, 소셜로그인 등
- IA (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구조), 메뉴구조도 (ia구조도) : IA는 정보구조도로, 서비스의 전체 그림과 흐름을 파악하고 결정할 때 쓰인다. 제품과 서비스를 구성하는 정보와 콘텐츠의 구조, 우선순위, 흐름을 설계하는 가장 기초적인 작업으로 사용자에게 언제, 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할지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 화면 정의서 : 각각의 화면에 어떤 내용들이 어떻게 들어가야 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기술하고, 동작을 디스크립션으로 주석을 달아 놓는것.
- 테스트케이스
- 요구사항분석
- 유저분석
- 품질관리
- 시장조사 및 경쟁사 분석
- 프로젝트 일정관리
UX 디자이너가 하는 업무 :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과 디자인을 고민하는것
UX 디자이너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사용자 조사, 정보 구조 설계, 와이어 프레임 및 프로토타입 제작 등의 작업을 담당하며, UX 디자이너는 사용자의 니즈와 목표를 이해하고, 해당 제품 또는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최적의 경험을 설계한다.
- ux의 업무 : 요구사항 수집, 사용자조사 인터뷰, 사용자분석, 사용자 개선, 사용성테스트, 정보구조 설계, 경쟁사 및 트렌드 조사, 리서치 보고서, 접근성 및 사용성 검토, 테스트 결과분석
UI 디자이너가 하는 업무
UI 디자이너는 UX 디자이너가 설계한 경험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색상, 레이아웃, 아이콘, 버튼 등 디자인 요소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한다. UI 디자이너는 일관된 디자인 언어와 스타일 가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제품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UI 디자이너는 화면의 레이아웃, 버튼 디자인, 아이콘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앱을 쉽게 탐색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다.
- ui의 업무 : 브랜딩 및 그래픽 제작, 인터페이스 디자인, 디자인 가이드 정의, 디자인 시스템 개발, 트렌드조사, ui컨셉정의, 프로토타입, 인터랙션제작, 애니매이션제작
결국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선 UX와 UI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하기때문에
UX 디자이너와 UI 디자이너를 구분하지 않고, UX/UI 디자이너로 통합하는 경우 많다.
퍼블리싱이 하는 업무
: HTML, CSS 프로트 화면 구현, 인터랙션(스크립트)구현, 애니매이션구현(Lottie, javaScript), 컨포넌트제작, 프론트엔드협업, 부트스트
FO: Front Office
BO: Back Office
턴키프로젝트란 기업이 해외로부터 특정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설계 및 건설하고 완공 후 모든 설비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상태를 뜻하고 있습니다.
정성적, 정량적
- 정성적 : 물질의 성분이나 성질을 밝히는 것, 말 그대로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
- 정성적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에 대한 심층적이고 상세한 정보를 얻고자 연구자의 풍부한 경험과 직관적인 통찰을 이용한 연구 방법
- 정량적 : 양을 헤아려 정하는 것, 수치화된 자료를 기반으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는 방
- 정량적 연구방법 : 자료에서 산출된 수치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여 일정한 통계적 방법을 사용해 철저하게 객관적인 틀속에서 결론을 도출하는 연구 방법
- 정성적 분석 마케팅 예시 : 고객선호도(타겟 대상들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좋아하는 정도 및 브랜드 인식), 시장트렌드(소비자들의 행동변화, 관심, 취향 등과 관련한 마켓의 정보), 서비스평가(cs팀의 친절함 및 적극성 등)
- 정량적 분석 마케팅 예시 : 예산 및 투자(자본, 인적자원, 기술 등의 투자규모), 시장 점유율(해당업체의 product 등이 시장내에 어느정도 포지션을 차지하는지), 재구매율(기존 소비자가 다시 같은 물품에 지출하는 비율)
킥오프란?
킥오프(kick-off)는 원래 축구 경기에서 경기의 시작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요즘은 그 의미가 확장되어 어떤 활동을 '시작'한다는 의미로 kick-off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킥오프미팅은 즉, 프로젝트등을 시작하는 미팅이라 할 수 잇다. 심지어 '버럭 화를 내다', '신발을 차서 벗다'라는 의미로까지 사용된다.
헤더 (Header) & 푸터 (Footer)
헤더는 웹페이지의 상단 영역, 푸터는 웹페이지의 하단 영역. 헤더에는 주로 브랜드 로고와 네비게이션바가 포함되며 푸터에는 회사 정보, 개인정보 정책, 소셜 미디어 정보 등이 포함된다.
타이포그래픽을 경정하는 요소 : 폰트, 두께, 행간, 자간, 컬러
챕터 01 : 웹 아이덴티티와 색상개발
- 아이덴티티로 시작하기
- 가이드 개념과 필요성
- 색상개발 방법론
- 웹구조의 이해와 UI 종류 알아보기
- 포토샵 웹용 셋팅 바꾸기
- 과제 소개
챕터 02 : 해상도와 그리드 개념
- 해상도 개념과 이해
- 해상도와 그리드의 상관 관계
- 그리드 시스템의 이해와 제작방법
- 그리드 시스템 제작 및 적용
챕터 03 : 웹 타이포그래피
- 서체 출력의 종류와 이해 (시스템 폰트, 이미지 폰트, 웹 폰트)
- 서체 단위의 개념 (고정단위와 상대단위 ex : px, pt, em, rem)
- 서체 크기의 이해
- 포토샵 안티앨리어싱의 이해
- 자간과 행간의 이해와 사용법
- 웹 타이포그래피 실습
챕터 04 : 디자인 오브젝트의 이해
- 디자인 오브젝트 요소의 이해
- 주제와 부주제, 그룹화 요소의 개념
- 구조에 의한 디자인 제작하기
- 여백의 개념과 활용
- 디자인 오브젝트 수정
챕터 05 : 비율 시스템
- 산업에서 사용되는 박스 비율 알아보기
- 비율 계산법과 적용법
- 3등분의 법칙을 이용한 이미지 레이아웃
- 박스모델 비율 적용
- 이미지에 3등분 법칙 적용
- 박스와 이미지 비율 가이드 제작
- 프로젝트 컨펌
이하 커리큘럼 링크첨부
https://remain.co.kr/shop/item_class.php?it_id=1618558964
[개인공부] Figma를 활용한 UX/UI 디자인 1 (0) | 2023.08.02 |
---|---|
[리메인] 웹 프로페셔널 강의 학습일지 2 (0) | 2023.08.01 |
검색광고마케터 1급 문제풀이 2탄 (0) | 2023.06.23 |
검색광고마케터 1급 문제풀이 (0) | 2023.06.02 |
트위터 광고 FAQ (0) | 2023.01.25 |
댓글 영역